별을 보기 위해서는 몇가지 조건이 있다.
그 조건들이 다 맞아 떨어져야 별을 잘 볼 수 있다.
1. 어두워야된다.
2. 달이 초승달 또는 그믐달에 가까워야된다.
3. 날씨가 좋아야된다(구름이 없어야된다.)
세박자가 맞아 떨어져야 별을 잘 볼 수 있는 조건이 성립된다.
그렇다면, 우리나라에서 별을 잘 보기위해 충분히 어두운 지역은 어딜까
빛공해지수를 볼 수 있는 사이트가 있는데, 여기서 어디가 어두운 곳인지 알 수 있다.(맨 아래 링크참조)
별을 보기 충분히 어두운 기준을 몽골의 어기호수을 기준으로 삼아보자(어기호수의 빛공해지수는 0.02다)
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몽골 어기호수 만큼이나 어두운 곳은 어디일까?
1. 가리왕산(빛공해지수: 0.02)
- 개인적으로 가장 가보고싶은 장소다. 빛공해지수가 무려 0.02로 몽골과 빛공해지수가 똑같다.
2. 청옥산(빛공해지수: 0.07)
- 청옥산 육백마지기는 0.07로 0.02보다는 높지만 별을 보는데는 충분한 어둡기다. 차량으로 이동가능
3. 철원 백마고지(빛공해지수: 0.68)
- 이곳도 유명한 곳이다. 빛공해지수는 0.68로 다소 높다.
- 경기도 서울권에서 접근성이 좋아 유명한 곳이다.
4. 황매산 정상부근(빛공해지수: 0.14)
- 지리산 북동쪽에 위치하고있는 황매산은 무려 빛공해 지수가 0.14로 몽골보다 더 어두운 곳이다.
아마 별구경이나 별사진을 찍기에 최적의 장소가 아닌가 한다.
별사진을 찍을때 카메라 설정은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자면 아래와 같다.
아래의 내용은 유투버 포컬랜서님의 내용을 가져왔다.
(출처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BUKZBirf-W4)
1. 셔터스피드 30초
2. 조리개 1.8~2.8
3. ISO 1600~2500
4. 고감도 노이즈 제거 기능 켜주기
5. 장시간 노출시 노이즈 제거 기능 켜주기
이 외에도 별구경이나 별사진찍기 좋은곳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이다.
아직은 아는곳이 서너군데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.
(언급한 곳 외에도 추천할만한 장소가 있다면 말씀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~)
빛공해지수를 볼 수 있는 사이트: https://www.lightpollutionmap.info
Light pollution map
Do not show this message at start
www.lightpollutionmap.info
'등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천생산(원점회귀) (0) | 2021.01.15 |
---|---|
함지산(태전동 코스) (0) | 2021.01.08 |